검색결과 리스트
글
미국 대학생들에게 맥을 사용하는 이유를 물어보았더니
Keynote 때문에 이용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는 군요.
같은 PPT 파일을 키노트에서 그대로 불러와서,
폰트나 라인스페이싱 등의 간단한 조종만 하면 그대로 키노트에서
플레이를 할 수 있는데, 플레이 이펙트 등을 보면 PPT와는
게임이 안되게 훌륭한 이펙트를 줄 수 있습니다.
(물론 PPT에서도 힘들게나마 할 수 있겠지만,
기본 포함된 그래픽 이펙트는 아무래도 맥에 비할바가 못되더라구요)
비슷하게 윈도우에서 객체로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데
많이 사용했던 것이 비지오 라는 것이라면,
맥에서는 옴니그라플 이라는 응용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다음과 같은,
![](http://pds21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aafd7847.png)
기본적인 플로우차트 부터 시작해서,
GUI 설계 등과 같은 것도 할 수 있고,
아이폰 안드로이드 개발에 필요한 폼, 배경 및 GUI 컴포넌트 등을
스텐실로 가지고 있어서 쉽게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.
최근에는, C 프로그램을 하는데 필요한 구조체를 이클립스에서 이미지로 따다가,
![](http://pds25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ad8cedb2.png)
이것 처럼 개발하거나 분석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.
(자기가 자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도 이렇게 머리에 두고 있어야 하는데 정말 과거에 일일이 그린것을 생각하니... 휴우)
그림으로 가지고 와서 테두리 등을 지정하고 필요에 따라 그 안에 안보이는 박스를 첨가해 그룹하여 사용하였습니다.
만약 기존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마우스로 드래그 & 드랍하기만 하면 바로 변경됩니다.
(그룹핑 되어 있는 경우에는 UnGroup 한 다음 넣으면 됩니다)
이렇게 좋은 옴니 그래플을 사용하면 할 수록 편함을 느낄 수 있는데,
사용할 수록 왜 불편할까 생각했던 것을 하나 해결하였습니다.
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위하여 "Rails On Database" 라는 스텐실에서
테이블을 따다가 그리면
![](http://pds21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5ef2ac79.png)
테이블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그런데 이를 선택하면 위와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다.
좌상, 우상, 좌하, 우하와 같은 일반 크기조종 위치에서 마우스 끌기를 하면
크기 조종만 됩니다.
대신 가운데 상, 하를 이동시키면,
![](http://pds21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6dceed8a.png)
위와 같이 행이 변함을 알 수 있고,
마찬가지로 가운데 좌우를 움직여
![](http://pds23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6fca15b1.png)
컬럼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.
(이것이 테이블 모드 입니다.)
헌데 필요한 것은 중간에 하나의 아이템을 넣거나 빼기 위하여
선택한 위의 개체를,
![](http://pds25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7480eb14.png)
Ungroup 시켜 봅니다.
그러면,
![](http://pds23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75bb7df1.png)
위와 같이 개개의 행목을 넣거나 빼면서 조종할 수 있습니다.
(이것을 안해서 일일이 행을 추가해서 n번을 복사 붙여넣기를 해 왔다는 무식한 짓을 했었습니다... T.T)
암튼 위와 같이 무언가를 넣거나 빼기를 한 다음,
일반적인 Group을,
![](http://pds23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7af0f07e.png)
하고 나면,
![](http://pds23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7c0df444.png)
처음과 같이 가운데 상하좌우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그룹 모양입니다.
이것을,
![](http://pds23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7e642504.png)
늘려보면 위와 같이 그룹된 모든 하위 개체가 동일하게 늘거나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어라~~~! 내가 원한 것은 이게 아니라, 처음과 같은 테이블 컬럼, 행을 조종하는 것이었는데...
이런 경우에 바로 테이블 모드로 그룹핑을 하면 되는 것이었습니다.
![](http://pds25.egloos.com/pds/201210/19/18/a0105618_5081082b878ed.png)
위와 같이 Group 대신 "Make Table"을 하면 되는 것이었습니다.
어느분께는 도움이 되셨기를...
'Refer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pen project / Source URLs (0) | 2012.07.04 |
---|
RECENT COMMENT